1. hub.docker.com 계정 등록
windows 환경에서는 hub.docker.com 계정이 없으면 Docker를 사용할 수 없다. 그러므로 가장 먼저 hub.docker.com의 계정을 생성해야 한다.
hub.docker.com으로 접속한 후 먼저 계정을 생성해야 한다. 회원가입을 한 후 회원가입시 진행한 이메일을 통해서 인증을 완료해야 한다.
2. DockerDesktop 설치
docker.com에 들어간 후 자신의 os에 맞는 DockerDesktop을 설치해 준다.
그 후 다운로드 된 Docker Desktop Installer를 실행해 준다.
그럼 마지막에 이런 화면이 나온다.
윈도우 환경에서 docker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windows에서 제공하는 hyper-v를 사용해야 하며 또한 WSL2 (window subsystem for linux) 를 활성화 해야한다. 그러므로 모두 체크를 한 후 Ok를 눌러준다.
3. Hyper-V 가상화 기능 활성화
위 그림을 보면 Hyper-V를 사용하기 위해 설정을 한다.
Hyper-V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bios에서 가상화 기능을 켜야 한다. 가상화를 키기 전에는 CPU가 가상화가 가능한지 확인해야 한다. 현재 이 시스템은 가상화가 지원이 되는 CPU이므로 Bios에 들어가서 가상화를 켜 줘야 한다.
이 시스템의 경우 MSI 메인보드이므로 MSI Bios에 들어간 후 가상화를 켜 줘야 한다.
작업관리자를 켠 후 성능을 확인해 보면 현재는 가상화를 켜 놨기 떄문에 가상화가 사용안함으로 되어있다.
그러므로 Hyper-V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 가상화를 켜야 한다.
현재 시스템은 MSI 메인보드를 사용하므로 MSI BIOS로 들어간 후 가상화를 설정해 주었다.
컴퓨터를 재부팅 시킬 때 메인보드 시작화면이 뜨는 순간 F11을 눌러준다.
그 후 F7을 눌러 Advanced Mode로 넘어온다 그 후 왼쪽에 있는 OC를 선택한다.
그 후 Advanced CPU Configuration을 클릭한다.
그 후 SVM Mode를 Disabled -> Enabled로 변경한 후 X를 눌러 빠져나오면 자동으로 재부팅이 된다.
그 후 다시 작업관리자를 확인해 보면
가상화가 사용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WSL2의 리눅스 커널 설치
컴퓨터를 재부팅 하면 이런 화면이 뜬다. WSL2 커널을 업데이트를 해야 한다.
링크를 클릭하면 위와 같은 사이트가 나온다. 그 후 x64 머신용 최신 WSL2 Linux 커널 업데이트패키지를 눌러 설치해 준다.
그 후 restart를 클릭한다.
5. Docker 동작 상태 확인
그 후 Docker Desktop 아이콘을 클릭하면 도커가 구동된다.
클릭을 한다면 이런식으로 도커 컨테이너가 화면에 뜨면서 시스템 트레이에도 도커가 추가된다.
그 후 powershell에 들어온 후 docker version을 입력하면 Docker Server와 Client 모두 다운로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한번 말하지만 Windows에서는 Docker Hub아이디가 있어야 한다.
그 이후 docker login을 통해서 방금 가입한 Docker Hub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로그인이 성공한다면 Login Succeeded 라는 콘솔이 뜨게 된다.
이로써 윈도우에서 도커를 사용할 준비가 다 되었다.
참조 문서
MSI 메인보드 AMD-V(SVM) 가상화 설정하기(feat.vmware) (tistory.com)
MSI 메인보드 AMD-V(SVM) 가상화 설정하기(feat.vmware)
안녕하세요. Windows 데스크탑에서 Ubuntu를 사용해야하는 일이 생겼습니다. 회사 일에 대한 테스트 겸 개인 스터디 용도인데, 듀얼 부팅으로 구성을 할까 고민해봤지만 일단 비효율적인 것 같아서
joonyon.tistory.com
'[AWS] > AWS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S를 활용해 컨테이너 띄우기 (0) | 2022.09.05 |
---|---|
[AWS] Transit Gateway 구성 (1) | 2022.08.31 |
[AWS] Terraform 사용해서 VPC 구성하기 (0) | 2022.08.30 |
[AWS] AWS ECR에 도커 이미지 PUSH (0) | 2022.08.29 |
[AWS] Private IP 지정하여 사용하기 (1) | 2022.08.22 |
[AWS] AWS Direct Connect란 무엇인가? (1) | 2022.08.18 |
[AWS] EC2 및 RDS gp vs 프로비저닝된 iops1 가격 비교 (0) | 2022.08.08 |
[AWS] 서버리스로 간단한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0) | 2022.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