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astic Block Store(EBS)
AWS 클라우드의 Amazon EC2 인스턴스에 사용할 영구 블록 스토리지 볼륨을 제공.
각 Amazon EBS 볼륨은 가용 영역 내에 자동으로 복제되어 구성요소 장애로부터 보호해주고, 고가용성 및 내구성을 제공.
Amazon EBS볼륨은 워크로드 실행에 필요한 지연 시간이 짧고 일관된 성능을 제공.
Amazon EBS를 사용하면 단 몇분 내에 사용량을 많게 또는 적게 확장할 수 있으며, 프로비저닝한 부분에 대해서만 저렴한 비용을 지불.
여기서 Block은 File(Object Storage)를 의미.
EBS Based : 반 영구적인 파일의 저장 기능
- SnapShot 기능
- 인스턴스 업그레이드 기능
- STOP이 가능
=> EBS는 네트워크로 Instance랑 연결되어 있음.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느림.
EBS의 경우는 EC2와 연결해제후 다시 연결이 가능.
기존 성능이 저조할 경우, EBS를 유지시키면서, EC2를 종료후 업그레이드하여 EC2를 생성하여 재연결이 가능.
Instance Storage : 휘발성이나 빠른 방식
- 빠르지만 저장이 필요 없는 경우
- Stop 이 불가능.
=> Instance Storage는 Instance 안에 물리적으로 자리 잡고 있음.
CPU와의 접근성이 빠름.
Instace를 종료했을시 같이 삭제.
* 빠른 연산이 필요하거나, 저장할 필요가 없을때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AMI(Amazon Machine Image)
Amazon Machine Image는 인스턴스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
인스턴스를 시작할 때 AMI를 지정해야 하는데, 동일한 구성의 인스턴스가 여러 개 필요할 때는 한 AMI에서 여러 인스턴스를 시작할 수 있음. 서로 다른 구성의 인스턴스가 필요할 때는 다양한 AMI를 사용하여 인스턴스 시작.
* 1개 이상의 EBS 스냅샷 또는, 인스턴스 저장 지원 AMI의 경우, 인스턴스 루트 볼륨에 대한 템플릿(예 :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서버, 애플리케이션)
* AMI를 사용하여 인스턴스를 시작할 수 있는 AWS 계정을 제어하는 시작 권한.
* 시작될 때 인스턴스에 연결할 볼륨을 지정하는 블록 디바이스 매핑.
AMI 만드는 과정.
EBS 를 SnapShot생성.
(SnapShot은 게임을 예를 들어 설명 하자면, 현재 내가 플레이하고 있는 화면을 ScreenShot을 찍는거와 비슷한 개념.
현재 구성한 Instace의 자세한 내용을 ScreenShot을 찍어서 Image로 저장하는것이 아닌, 구성 파일등 다양한 설정을 데이터화해서 저장.)
SnapShot을 S3에 저장해서 AMI등록하여 사용.
* 나만의 AMI를 만들어서 저장 가능.
* 다른 사람에게 공유 가능.
* BackUp 용으로도 저장 가능.
AMI를 Base로 EC2 실행하거나 다른 EC2를 만들수 있음.
AMI 생성 과정
원하는 인스턴스에서 오른쪽 클릭으로 세부 메뉴 확인
=> Image and templates 영역으로 들어가서 이미지 생성이라는 항목을 클릭하면
AMI를 생성하는 화면으로 이동한다.
해당 AMI의 이름을 입력하고, 설명을 추가한뒤에
이미지와, SnapShot에 태그를 구분해서 지정할지 같이 지정할지에 대한 선택후 이미지 생성하면 AMI가 생성.
이미지를 생성했을때 순간적으로 EC2가 멈춰서 다운타임이 발생한다는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위와 같이 AMI생성 요청이 되었고, Pending 과정이 끝나면 Available 상태로 바뀌면서 해당 AMI를 사용할수 있게 된다.
그러면 위와 같이 내 AMI탭으로 접속하여 내가 생성한 AMI를 선택하고, Instace 사양을 업그레이드하여 새로운 Instance를 구성할 수 있다.
추가로 간혹가다 AMI를 삭제해야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필자의 경우는 운영환경에서 기간이 지난 AMI를 삭제하는 일이 종종있었다.
삭제를 원하는 특정 AMI를 선택하고 우측에 Actions탭에서
Deregister AMI를 선택하면
AMI를 삭제하겠냐는 화면이 확인되고 Deregister AMI를 클릭하면 AMI 삭제가 완료된다.
AMI를 새로 만들고 해당 AMI에서 운영중인 DB로 정상적으로 붙는지 확인하기 위해 Telnet을 날려 보았다.
하지만, DB 환경에 따라 결과 화면이 달랐다.
위 화면이 MSSQL일때의 화면이고,
이 화면이 MySQL, MariaDB의 결과 화면이다.
'[AWS]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Data Link and Migration (0) | 2022.07.20 |
---|---|
[AWS] Serverless 환경 (0) | 2022.07.08 |
[AWS] Scale Down (0) | 2022.07.06 |
[AWS]AMI, SnapShot 계정간 공유, 다른 Region으로 복사 (0) | 2022.07.05 |
[AWS]Subnet이란 무엇일까 (0) | 2022.07.05 |
[AWS]운영서버 장애시 자동 Restart (0) | 2022.06.30 |
[AWS] [윈도우] 다른 Region으로 키 복사 (0) | 2022.06.30 |
[AWS] [리눅스] 다른 Region으로 키 복사 (0) | 2022.06.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