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S-DR]/GSLB

[참고] CNAME 레코드와 A레코드 설정 !!

by METAVERSE STORY 2024. 6. 13.
반응형
728x170

 

 

 

위의 서버 구성을 살펴보면 charliezip.tistory.com 이라는 CNAME 레코드와 charliezip.a.tistory.com 이라는 A레코드가 구성되어 있는걸 볼 수 있다.

GSLB를 설정할때 CNAME레코드, A레코드도 같이 설정하게 된다.

CNAME레코드와 A레코드는 사용자로부터 charliezip.tistory.com이라는 요청이 들어오면 해당 도메인에 맞는 서버의 IP를 맵핑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DNS A레코드

DNS A레코드(Address record)란 주어진 도메인의 IP 주소를 나타낸다.

 

예시)

도메인 레코드 유형
charliezip.tistory.com A 127.0.0.1

A레코드는 도메인의 IP주소를 맵핑해주기 때문에 charliezip.tistory.com이라는 도메인을 127.0.0.1 IP주소로 맵핑해준다.

 

도메인을 IP주소로 바로 맵핑해주기 때문에 직관적인 장점도 있지만

A레코드를 사용하는 경우 서버 교체 등의 이슈로 IP가 변경되는 일이 발생한다면 그때마다 IP값을 변경해주어야 하는 리스크가 존재한다.

 

IP를 제때 변경하지 않으면 서버 장애로 이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 보통 CNAME 레코드를 사용한다.

 

 

DNS CNAME 레코드

CNAME레코드는 도메인 이름의 별칭으로써 작동한다.

 

 

예시)

도메인 레코드 유형
charliezip.tistory.com CNAME charliezip.a.tistory.com
charliezip.a.tistory.com A 127.0.0.1

charliezip.a.tistory.com은 charliezip.tistory.com의 별칭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charliezip.a.tistory.com 을 A레코드로 등록한다.

 

사용자 접근시 레코드 동작 흐름 순서

  1. charliezip.tistory.com 으로 접속하면 CNAME레코드 값인 charliezip.a.tistory.com 값을 반환
  2. A레코드를 통해 charliezip.a.tistory.com 에 해당하는 127.0.0.1 IP 주소로 연결

CNAME레코드를 사용할 경우 별칭인 charliezip.a.tistory.com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서버의 IP를 직접 바라보고 있지 않다.

따라서 서버의 IP가 변경되어도 별도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기때문에 좀 더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유의사항

  • A레코드에는 IP만 허용되면, 포트번호는 지원하지 않는다.
  • 모든 CNAME 레코드는 IP 주소가 아닌 도메인을 가리켜야 한다.
  • CNAME 레코드는 도메인 및 서브 도메인만 허용하며, 하위주소 "charliezip.tistory.com/catagory/"는 지원하지 않는다.

 

 

 

 

출처 : GSLB(Global Server Load Balancing)란?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