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Route53에 도메인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다.
도메인을 구입할수는 없어 연결 방법과, 화면은 블로그를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우선 AWS에서는 Route53을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Amazon Route53은 가용성과 확장성이 우수한 DNS(Domain Name System), 도메인 이름 등록, 상태 확인
웹 서비스 입니다. 이 서비스는 최종 사용자를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으로 라우팅 할 수 있는 매우 안정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방법을 개발자와 기업에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출처 : https://aws.amazon.com/ko/route53/faqs/
그리고 명확하게 설명 되어 있지는 않지만, 가비아나 도메인 업체를 통해서 구입한 도메인의 경우는 약 2년 정도 주기로 연장을 해야 한다.
하지만 Route 53의 경우는 이 연장을 자동으로 해주기 때문에, 관리 포인트가 하나 줄어 든다는 장점이 있다.
만약 웹 서비스를 운영중인데, 도메인 연장 주기를 놓쳐서 사용하고 있던 도메인을 다른 사용자가 선점해서 사용한다면, 정말 회사 입장에서는 아주 뼈 아픈 손실일수 밖에 없다.
그럼 도메인 연결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Route 53 대시보드에서 "호스팅 영역"을 클릭해서 이동한다.
그 다음 상단에 "호스팅 영역 생성"이라는 파란색 버튼을 클릭한다.
다음 순서로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고 하단에 "생성" 버튼을 클릭한다.
밑에 있는 설명, 유형은 따로 설정하지 않고 넘어가도 무방하다.
생성이 완료 되면 호스팅 영역에 방금 등록한 도메인 이름이 생성된다.
도메인 이름을 클릭해서 조금 더 구제척인 설정을 할 수 있다.
유형 항목을 살펴보면 NS, SOA는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값이다.
가비아에 들어가보면 "네임서버 설정" 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거기에 NS 옆에 적힌 4개의 값을 입력해 주면 된다.
"레코드 세트 생성"을 클릭 후, 만들고 싶은 서브 도메인 이름을 설정한 수 이름 밑 유형 "A-IPv4주소"로 설정, 별칭 "예"를 누르면 별칭 대성 설정이 가능하다. S3 스토리지 엔드포인트와 연결 시키면 되므로 같은 이름으로 된 것을 불러올 수 있다.
하지만 이때, 서브 도메인을 만들 때는 S3에서 꼭 사용하려는 서브 도메인의 DNS 이름으로 버킷을 생성해야 한다.
위 과정을 통하명 레코드가 생성되고, 1분 뒤에 도메인을 브라우저 주소창에 검색해보면 잘 작동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https://velog.io/@nari120/Route53-DNS-구축.-AWS-도메인-연결하기
'[AWS]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고] HTTP와 REST API이란 무엇인가!! (86) | 2023.12.21 |
---|---|
[AWS] MSSQL 클러스터 방법 (0) | 2022.10.14 |
[AWS] Endpoint란 (0) | 2022.09.28 |
[AWS] 트랜잭션 로그 (1) | 2022.09.13 |
[AWS] Route53이란 (0) | 2022.08.12 |
[AWS] Cloud Front의 정의 (0) | 2022.08.12 |
[AWS] 리눅스 파일 시스템 (0) | 2022.08.12 |
[AWS][Lex][Lambda] 1. Lex와 날씨 API (0) | 2022.08.01 |
댓글